
'가타카나 신라 유래설' 제기한 일본 학자 "'각필' 볼수록 확신"
노형석입력 2020.01.29. 18:46수정 2020.01.29. 20:56
2020년 제기한 파격적인 학설로
한·일 고문서 학계에 파문 일으켜
연구 성고 담은 저서만 30여권
11년째 한국 학자들과 공동 작업
"한일 고대어 해석에 중요한 각필
일본 문자 탄생에 결정적 영향 줘
학문은 사실 발견과 해석의 과정
일 학계서 소외된다 생각지 않아"
벌써 여섯 시간째다. 92살 먹은 일본인 노학자는 어두운 암실에서 눈을 부릅뜬 채 돋보기를 들고 1200년 전 신라인의 먹글씨로 채워진 불교 경전 필사본을 뜯어보고 있다. 불경 속 먹글자를 찾는 게 아니다. 그는 신라 승려들이 정성껏 옮겨 쓴 <화엄경> 필사본에 적힌 무수한 한자 옆의 여백을 주시했다. 신라인들은 필사본의 여백에 끝이 뾰족한 도구로 한자의 뜻이나 한자 단어를 잇는 신라말 조사의 발음을 담은 부호를 눌러 새겼다. 이른바 ‘각필’이다. 먹으로 쓴 것이 아니라 확 띄지 않는다. 두루마리 필사본을 펴들고 할로겐 조명등으로 여기저기 비춰야 부호의 흔적이 겨우 나타난다. 1200여년 전 신라인들이 썼던 생생한 입말의 정체를 밝혀내기 위한 작업이라고 노학자는 말했다.
27~30일 일본 옛 도읍인 나라시의 큰 절 도다이사 경내 도서관에서 한국과 일본 고문서학자들이 모여 신라 불경 필사본 화엄경에 대한 공동 판독 작업을 했다. 학자들을 이끈 리더는 한일 고대문자 연구 권위자인 고바야시 요시노리(92) 히로시마대 명예교수. 그가 두루마리를 펴들고 불경 속 각필을 판독해 메모하면 옆에서 지켜보던 국내 원로학자 남풍현 단국대 명예교수와 정재영 한국기술교육대 교수, 권인한 성균관대 교수가 함께 각필 내용을 검토하고 생각이 일치하면 정자로 기록하는 작업을 거듭했다.
한일 학자들이 도다이사에 모여 신라 불경을 공동 판독하는 프로젝트는 2009년 처음 시작됐다. 올해로만 벌써 15차 판독회다. 한국 학계에 신라 각필을 처음 소개하고 알린 고바야시 교수의 노력과 이에 호응한 한국 소장학자들의 의기투합 덕분에 성사된 독특한 한일 협력의 결실이다. 고바야시 교수는 ‘일본 특유의 가타카나 문자가 신라에서 유래했다’는 학설을 2002년 처음 제기했다. 가타카나가 7~8세기 일본에 전래된 신라의 불경 필사본에 발음과 뜻을 표시하기 위해 붙인 신라인의 각필에서 비롯되었다는 이 학설은 한일 고문서 학계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고바야시 교수는 또한 고대 신라와 일본의 불경, 문서에서 각필을 찾아내고 연구를 시작한 선구자로도 유명하다. 일본과 한국에 있는 고대 한반도의 각필 자료는 그가 처음 확인한 것들이다. 이런 연구 성과를 담은 저서만 30여 권을 냈고, 최근 수년 사이엔 그동안 연구 성과를 정리한 전집 9권도 냈다.
........................
https://news.v.daum.net/v/20200129184606630
일본놈들 억장 무너지네.. 원래 일본엔 있지도 않던 구석기 유적도 조작 날조하던 놈들이니 ㅋ